마르코 7,14-23
마음의 작동원리를 알면 무슨 죄에서든 벗어날 수 있다
오늘 예수님께서는 우리 안에서 나오는 것들만 우리를 더럽힐 수 있다고 말씀하십니다.
이 말은 오염의 원천이 내 안에 있다는 뜻입니다.
제가 오산성당에 있을 때 성수가 계속 더러워지는 일이 있었는데 그 원인을 밖에서 찾았습니다.
안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성수가 항아리에서 줄어들자 그 안에 박으로 만든 바가지가 엎어져 있는 것이었습니다.
그 바가지에서 옻칠이 벗겨지며 성수를 더럽히고 있었습니다.
나를 더럽히는 것은 내 마음에서 나오는 것뿐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오늘 사람에게서 나쁜 생각들, 불륜, 도둑질, 살인, 간음, 탐욕, 악의, 사기, 방탕, 시기, 중상, 교만, 어리석음이 나온다.
이런 악한 것들이 모두 안에서 나와 사람을 더럽힌다고 하십니다.
사람의 마음 안에서 욕망이 시작됩니다.
무언가를 하고 싶다는 욕구는 머리가 아닌 마음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악의도 그렇고 불륜을 저지르거나 남의 것을 탐내고 사람을 죽이고 싶은 마음도 그렇습니다.
위 여러 우리를 더럽히는 죄들은 ‘내가 ~을 하고 싶다’에 다 들어갑니다.
그러니 나의 마음에서 모든 죄가 나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죄에서 벗어나는 방법도 단순해집니다. 모든 죄의 원인인 마음만 바꾸면 됩니다.
마음은 어떻게 바뀔 수 있을까요? 마음의 작동원리를 알아야 합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살’ 45화에 최면으로 금연을 하게 된 사례가 나옵니다.
이남현 씨는 담배를 17년 정도 피웠습니다. 지금은 도저히 담배를 끊을 수 없었는데 최면으로 금연 성공 5년 차가 됩니다.
편안히 눈을 감고 왼쪽 손에 공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 안에 담배 피울 때의 장소, 느낌, 상황들을 다 담습니다.
그리고 오른손에는 내가 가장 싫어하는 것들을 담습니다.
싫어하는 사람, 무서운 것, 혐오스러운 것들을 담습니다.
하나, 둘, 셋 하면 오른손에 있는 이미지를 왼손에 있는 이미지에 마구 섞어 비벼줍니다.
내가 싫어하는 이미지가 담배 속으로 다 스며들어 가는 것입니다.
그러다 이 부정적인 이미지와 섞인 담배의 이미지를 가슴속으로 깊게 밀어 넣어줍니다.
이런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면 효과가 더욱 좋다고 합니다.
이남현 씨는 마음의 작동원리를 이용하여 금연을 한 사례입니다.
마음은 믿고 바라고 사랑하는 능력입니다.
그동안 마음이 담배가 행복한 것이라 믿고 바라고
사랑해왔습니다.
머리는 그저 마음을 따를 뿐입니다.
머리로 아무리 담배에서 벗어나려 해도 안 됩니다.
그렇다면 마음만 바꾸면 됩니다.
바로 마음이 담배가 행복이라 믿지 못하게 만들어 바라지도 사랑하지도 않게 하면 되는 것입니다.
이남현 씨는 최면으로 그렇게 담배에 안 좋은 이미지를 가미함으로써 담배가 행복이 아니라 고통이라고 마음이 믿게 하였습니다.
그것을 계속 가슴에 밀어 넣은 것입니다.
그러니 담배를 만났을 때 이전보다 덜 사랑하게 되고 그러면 끊기가 쉬워집니다.
마음의 작동원리만 알면 못 할 게 없는 것입니다.
최면이어도 담배를 끊으면 좋은 거 아니겠습니까?
앤서니 라빈스의 『네 안에 잠든 거인을 깨워라』에서 이런 사례가 나옵니다.
앨라배마에서 자란 한 젊은이의 이야기입니다.
약 15년 전, 학교의 7학년(한국의 중학교 1학년)
불량배가 싸움을 걸어오더니 주먹으로 때려 그를 기절시켰습니다.
이 소년은 정신을 차린 뒤, 그 불량배를 죽이겠다며 복수를 다짐했습니다.
그는 집으로 가서 어머니가 가지고 있던 22구경 권총을 집어 들고 그 불량배를 찾아 나섰습니다.
마침내 그 불량배가 사정권에 들어왔고, 소년이 권총을 쏘기만 하면 그 불량배는 죽음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 순간, 그는 자신에게 이런 질문을 던졌습니다.
‘내가 지금 방아쇠를 당기면 앞으로 나는 어떻게 될까?’
그러고는 마음속에 한 이미지가 떠올랐습니다. 몹시 고통스러워하는 자기 모습이었습니다.
자신의 운명이 판가름 날 그 짧은 순간에 자신이 감옥에 가는 모습이 소름 끼치도록 뚜렷하게 떠올랐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감옥에서 밤새 잠을 이루지 못하는 자신의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그 고통은 복수를 하겠다는 기대감보다 훨씬 더 컸습니다.
결국 그는 목표물을 바꿔 나무에 총을 쐈습니다.
이 소년이 바로 훗날 미식축구와 야구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인 보 잭슨(Bo Jackson)입니다.
그는 자서전에서 이 장면을 묘사하면서, 절체절명의 기로에서 감옥을 연상함으로써 받는
고통이 복수한다는 명분으로 다른 소년을 죽이는 만족감보다 의심의 여지 없이 훨씬 더 강력했다고 토로했습니다.
마음의 초점을 바꾸고 고통과 기쁨 중에서 하나를 결정함으로써 이 소년은 미래가 없을 뻔했던 삶 대신 우리 시대의 가장 위대하고 성공적인 운동선수의 삶을 살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결국 마음은 내가 행복이라고 믿는 것을 희망하게 되고 그것을 사랑하여 그렇게 행동하게 됩니다.
그러니 마음을 바꾸려면 행복의 기준을 바꿔야 합니다.
행복의 기준은 정체성에서 옵니다.
개는 네 발로 걷는 게 행복이라고 여기고 사람은 두 발로 걷는 게 행복이라고 여깁니다.
물론 두 발로 걷는 개도 있고 네발로 기는 사람도 있습니다.
욕망은 자신이 누구냐고 믿는 정체성에서 그 정체성에 있는 자신을 행복하게 만들기 위해 바라는 마음입니다.
욕망으로 사람이 타락하기도 하고 거룩해지기도 합니다.
피조물은 좋은 것을 욕망할 수 없습니다.
내가 창조자와 하나가 되었다고 믿을 때 죄가 아닌 사랑이 행복이라고 여기게 됩니다.
마치 아이였다가 갑자기 부모가 된 사람처럼.
보 잭슨은 감옥에 있는 것보다 밖에 있는 것이 더 행복이라고 여겼기에 사람을 죽일 수 없었습니다. 우리가 이미 하느님의 자녀고 하늘 나라에 사는 존재라고 믿어야 하는 이유가 이것입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