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루카 12,35-40)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주님의 축복을 빕니다.
주님께서는 오늘 우리에게 복을 내리시고, 우리를 지켜주실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당신 얼굴을 비추시고, 은혜를 베푸실 것입니다.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당신 얼굴을 들어 보이시고, 평화를 주실 것입니다.
오늘 <복음>은 주인의 귀환을 깨어 기다리는 종들이 복을 받는다는 말씀(루카 12,35-38)과 사람의 아들이 갑자기 오실 것임을 명심하라는 말씀(루카 12,39-40)으로 되어 있습니다.
<루카복음>에 따르면, 예수님께서 당신의 교회를 위하여 남겨주신 최후의 행위는 축복이었습니다. 예수님의 승천 장면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손을 드시어 그들에게 강복하셨다.
이렇게 강복하시며 그들을 떠나 하늘로 올라가셨다.”(루카 24,50-51)
그렇습니다. 우리는 축복받은 존재입니다. 하느님의 생명과 자비를 입은 존재요, 하느님의 사랑과 은총을 입은 존재입니다. 우리 주님께서는 당신 생명을 주시고, 당신 존재를 건네주셨습니다.
그러기에, 비록 지금 내가 그 어떤 어려움에 있다하더라도, 그 속에서 축복을 느끼는 자는 진정 복된 자입니다. 복은 그 어떤 상황에서도 ‘주님께서 함께 계심’을 깨닫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곧 지금도 우리와 ‘동행하시는 주님’을 깨닫는 것입니다. 그러니, 축복은 궁극적으로 하느님 존재 자체를 깨우쳐줍니다. 따라서 그 어떤 상황에서도, 하느님의 존재와 자비에 깨어있는 사람이 축복받은 사람입니다. 결국, 우리는 하느님의 자비에 깨어있는 만큼, 꼭 그만큼 축복받은 사람이 됩니다.
<성경>에서, ‘축복’은 하느님의 놀라우신 자비를 말하고 있습니다. 축복을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바레크)는 ‘어떤 것을 선사함’이요, ‘주어진 선물’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그래서 살아있는 생명체만이 축복을 받을 수 있고, 무생물은 하느님께 봉사하기 위해 축성될 뿐입니다.
‘축복’은 말씀과 그 말씀의 신비를 통해 표현되고 주어지는 선물입니다. 곧 축복은 말씀입니다. ‘좋은 말’(εύλογία, benedictio) 입니다. 좋게 되기를 빌어주는 말입니다. 곧 좋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하는 말입니다. 곧 ‘위하여’ 건네주는 말입니다.
때로, 우리는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상대를 만나기도 합니다. 그도 역시 나를 마음에 들어 하지 않습니다. 피하고 싶고, 보고 싶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긴장과 갈등, 불화와 대립, 적대감이 들 때도 있습니다. 그러한 상대를 뜯어고쳐 변화시키고 싶을 때도 있습니다. 또한 그러한 나 자신을 변화시키고 싶을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아, 어찌합니까! 그 질곡은 진절머리 날뿐! 벗어나지지가 않습니다. 그런데 이럴 때, 그를 거부하면 더욱 더 멀어지고, 미워하면 더욱 더 미워지기만 합니다. 바로 이럴 때가, 진정 ‘축복’을 빌어주어야 할 때입니다. 복을 빌어주어야 하느님의 축복을 받고, 그 질곡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기 때문입니다.
‘축복기도’는 아주 간단합니다.
주님, 그를 축복해주십시오. 당신의 축복이 실현되도록 그가 응답하게 하소서!
저도 그를 축복합니다.
참 묘한 것은, 그렇게 하면 변한다는 사실입니다. 사실, 이렇게 할 때, 이미 내 자신이 변한 것입니다. 거부하고 미워하던 그 상대를 축복해주는 그 순간, 바로 그 순간에 변화의 영이신 성령께서는 이미 내 안에서 함께 하십니다. 벌써 내 안에서 그를 ‘위하는 마음’을 북돋으십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서로 변화됩니다.
이처럼, 이 소박한 우리의 축복기도는 우리에게 당신의 권능에 응답할 수 있는 장을 열어 줍니다. 성령께서 우리 안에서 활동하시도록 공간을 열어 드립니다. 그분의 자비가 흘러들게 하고, 그분 존재를 건네받게 합니다. 바로 이 소박한 축복이 가져다 준 선물입니다.
다시 한 번 축복을 빕니다. 무엇보다도 하느님을 받아 누리는 축복의 한해 되길 빕니다. 그러면 하느님께서 아브라함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그대를 통하여 세상의 모든 이가 복을 받을 것입니다.”(창세 12,3).
‘축복 빕니다. 복 많이 받으세요.’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