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카 10,1-12
우리는 어떻게 하느님 나라가 가까이 왔음을 보여줄 수 있을까?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당신 제자들을 세상에 보내시며 하느님 나라가 왔음을 선포하라고
하십니다.
그리고 그들이 하느님 나라를 받아들이지 않을 때도 역시 그렇게 하라고 하십니다.
“어떤 고을에 들어가든지 너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한길에 나가 말하여라.
‘여러분의 고을에서 우리 발에 묻은 먼지까지 여러분에게 털어 버리고 갑니다.
그러나 이것만은 알아 두십시오.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습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그날에는 소돔이 그 고을보다 견디기 쉬울 것이다.” 이 말 안에는 하느님 나라를 전하는 이들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곧 ‘심판’이라는 뜻이 들어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불가지론’을 말합니다.
신이 있는지, 없는지 증명할 수도 없고 알 수도 없다는 뜻입니다.
그러니 신을 찾는 행위는 의미가 없다는 주장입니다.
이것은 믿는 이들에게는 마치 아기가 태어났는데 부모가 있는지, 없는지 알 수가 없으니 부모를 찾을 필요가 없다는 말과 같이 들립니다.
하지만 오늘 복음에서 ‘하느님 나라’를 위해 목숨을 거는 이들 자체가 하느님이 계심을 증명한다고 말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불가지론자들이 사용하는 예는 이러한 것들이 있습니다.
원래 영국 철학자 John Wisdom이 제시하고 나중에 Antony Flew가 대중화한 이 사고 실험에서는 두 사람이 눈에 보이지 않는 정원사가 정원을 가꾸는지 아닌지를 토론합니다.
아름답고 잘 관리된 정원을 걷고 있는 두 사람을 상상해 보십시오.
한 사람은 정원사가 정원을 관리한다고 믿고 다른 사람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들은 이론을 테스트하는 데 동의합니다.
첫 번째 사람은 정원사가 잘 관리된 정원 상태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두 번째 사람은 회의적이며 정원의 아름다움을 자연의 산물이라고 봅니다.
정원사가 존재하는지 테스트하기 위해 그들은 정원사의 존재를 감지하는 카메라, 센서, 심지어
경비견까지 다양한 도구를 설정합니다.
그러나 정원사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습니다.
발자국도 남지 않고, 방해도 전혀 보이지 않으며, 정원은 눈에 띄는 어떠한 간섭도 없이 계속해서
번창하고 있습니다.
증거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신자는 정원사가 분명히 있다고 계속 주장하지만 이제는 정원사가 눈에 보이지도 않고, 만질 수도 없고, 어떤 알려진 수단으로도 탐지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그런 다음 회의론자는 “눈에 보이지 않고 감지할 수 없는 정원사가 있는 것과 정원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의 차이점이 무엇입니까?”라고 묻습니다. 즉, 정원사의 존재를 어떤 관찰 가능한 방식으로도 확인할 수 없다면 어떻게 정원사가 존재한다고 주장할 수 있겠느냐는 것입니까?
버트런드 러셀(Bertrand Russell)은 지구와 화성 사이 어딘가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찻주전자를 상상하는 유명한 비유를 제안했습니다.
이 찻주전자는 너무 작아서 어떤 망원경이나 과학 장비로도 감지할 수 없습니다.
그는 누구도 찻주전자의 존재를 부정할 수는 없지만, 그 존재 입증의 책임은 그것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에게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들은 믿지 않는 정당화를 하는 것이지, 믿음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고 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내가 만약 부모가 나의 부모임을 믿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누군가 부모를 보여주어야만 할까요? 또 누군가 DNA 검사를 해서 그 부모가 확실함을 입증한다면? 그런데 그 DNA 검사도 믿을 수 있는 것일까요? 중간에 속임수가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믿지 않으려고 한다면 어떤 증거를 대도 믿을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믿음은 무엇입니까? 눈에 보인다고 믿어지는 게 아닙니다.
믿지 않으려면 태양 주위를 도는 주전자를 보더라도 홀로그램이라 주장할 것이고, 정원사를 보더라도 그 정도 실력으로 저 좋은 정원을 다 가꿨을 리가 없다고 말할 것입니다.
그들이 주장하는 증거들은 이렇게 외적이고 외적인 것은 속임수가 가능하므로 믿지 않으려는
이들에게 어떤 믿음도 줄 수 없습니다.
어떤 여인이 나에게 키스해 주었다면 그것을 사랑으로 확신할 수 있을까요? 그런 외적인 것은
속임수일 수도 있어서 쉽게 믿지 못합니다. 사랑은 그런 증거들이 쌓여 마음에서 일어나는
인간 이성으로 감당할 수 없는 무엇입니다.
믿음은 마음 차원의 문제인데 부모의 사랑이 그 사람 마음 안에 들어가 ‘평화’를 줄 때 생깁니다.
제가 어머니를 의심했을 때 어머니께서 저에게 해 주시는 사랑에 결국은 믿기로 결단을 내리게 된 것과 같습니다.
이 ‘평화’를 하느님 나라라 합니다.
바오로 사도는 하느님 나라는 먹고 마시는 일이 아니라 성령을 통해 이루어지는 의로움과 기쁨과
평화라고 하였습니다.
부모의 사랑을 받고 나의 창조자를 만났을 때 누구나 그 평화를 체험합니다.
그런데 만약 그 평화까지 거부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만약 그 사람이 아이라면 온전한 인간이 되지 못하고 온전한 인간 사회에 적응할 수 없게 됩니다.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하는 것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하느님 나라의 복음을 전하는 이들은 이 평화를 주는 일을 하는 이들입니다.
그것을 거부할 때 더는 희망이 없습니다.
그러니 하느님 나라가 다가왔음이 곧 심판이 되는 것입니다.
엘리자베스 르쇠르와 펠릭스 르쇠르의 이야기입니다.
엘리자베스는 저명한 프랑스 의사이자 지식인인 무신론자 펠릭스와 결혼한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습니다.
펠릭스는 무신론자였을 뿐만 아니라 아내의 신앙에 적극적으로 적대적이었고 종종 아내의 종교적 신념을 조롱했습니다.
엘리자베스는 결혼 생활 내내 사랑과 인내, 충실함을 유지하면서 펠릭스의 개종을 위해
고통과 기도를 드렸습니다.
그녀가 죽은 후, 펠릭스는 자신의 영혼을 위한 기도와 희생을 기록한 영적 일기를 발견했습니다. 그녀의 사랑과 헌신에 깊은 감동을 받은 펠릭스는
깊은 회개를 경험하고 도미니키회 가톨릭 신부가 되었습니다.
펠릭스는 후기 저작물과 공개 강연에서 엘리자베스가 자신의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해 자주
언급했습니다.
그는 자신을 하느님께로 인도한 것이 그녀의 사랑과 흔들리지 않는 믿음이었다는 것을 인정했습니다.
그의 적대감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결혼 생활 내내 보여준 사랑은 궁극적으로 그가 한때 거부했던 바로 그 믿음을 받아들이도록 이끌었습니다.
교회는 엘리자베스와 같습니다.
교회가 전하는 복음은 바로 엘리자베스가 쓴 영적 일기입니다.
이것마저 거부한다면 다른 증거는 펠릭스에게 믿음을 가져다줄 수 없었을 것입니다.
오직 사랑으로 흘린 피만이 상대의 심장까지 흘러 믿음의 열매를 맺게 할 수 있습니다.
교회는 그렇게 하도록 파견되었고 그래서 교회의 사랑과 증언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희망이 없습니다.
(전삼용 요셉 신부님)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