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7월 6일 - 전삼용 요셉 신부

작성자 : 홍보실 작성일 : 2021-07-06 조회수 : 2451

기를 살리는 리더, 기를 죽이는 리더
 
오늘 복음에서는 두 리더의 상반된 모습이 대조되어 나타납니다. 
유다 지도자들을 대표하는 바리사이들과 그리스도입니다. 
그리스도는 마귀에 들려 말을 못 하는 한 사람을 치유해 주시어 말을 할 수 있게 하십니다. 
 
어떤 사람은 말을 많이 하면 실수를 많이 해서 최대한 말을 안 한다고 합니다.
좋은 생각이기는 하지만 어쩌면 두려움에 짓눌려 있는 것인지도 모르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귀는 말을 하지 못하게 하는 존재이고 예수님은 입이 열려 말을 하게 하는 분이십니다.
예수님의 이런 모습에 바리사이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저 사람은 마귀 우두머리의 힘을 빌려 마귀들을 쫓아낸다.”
 
이렇게 말하는 이유는 자신들의 권한을 잃게 될까 봐 두려워하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이런 지도자들에게 시달리며 고통받는 당신 백성을 보시고 가엾어하십니다. 
 
“그분은 군중을 보시고 가엾은 마음이 드셨다. 그들이 목자 없는 양들처럼 시달리며 기가 꺾여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렇게 덧붙이십니다. 
“수확할 것은 많은데 일꾼은 적다. 그러니 수확할 밭의 주인님께 일꾼들을 보내 주십사고 청하여라.”
 
자신들이 아니면 안 된다고 믿는 유다 지도자들에 반해서 예수님은 마치 당장이라도 떠날 분처럼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이것이 양들의 기를 살려주시는 예수님의 모범이십니다.
내가 아니면 안 된다고 믿는 목자는 양들의 기를 죽입니다. 
 
이무석 교수는 자신의 책 『30년 만의 휴식』에서 자신이 썼던 논문 주제인 천재 화가 빈센트 반 고흐의 삶을 분석해 놓았습니다.
고흐는 스물일곱 살에 미술을 시작해서 서른일곱 살에 자살하기까지 불과 10년 동안 850여 점의 창조적인 미술 작품을 그린 천재 화가입니다.
그러나 그의 인생은 불행했고 정신이상으로 귀를 자르더니 2년 후에는 가슴에 권총을 쏘고 자살했습니다. 
 
이 교수는 고흐의 이런 삶 이면에는 아버지를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합니다.
고흐는 엄격한 켈빈주의 목사인 아버지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 엄격함에 고흐는 죄책감을 많이 느꼈고 그것을 씻기 위해서는 자신을 학대하거나 혹은 자신과 같은 처지에 있는 이들에 대한 지나친 연민을 가졌습니다.
 
그가 누예넨의 광산에서 전도사 생활을 할 때는 불쌍한 광부들을 위해 자기 빵과 매트리스까지 주고, 자신은 2년 동안 거의 거지처럼 살았습니다.
헤이그에서 그림 공부를 할 때는 늙은 창녀와 그녀의 딸을 먹여 살려 주기도 하였습니다.
그는 가난한 농부들을 그렸고 그들의 거친 손을 예찬했습니다. 
 
이런 동정심은 바로 아버지에게 짓눌려 고통받아온 불쌍한 자신의 모습을 그들에게서 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들을 위로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자신이 위로를 받는다는 것입니다.
또한, 약한 자들을 돕는 선한 행동을 한 것이므로 죗값을 치르는 속죄 행위가 되기도 하는 것입니다.
 
고흐가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지 5년쯤 되었을 때 아버지가 갑자기 돌아가셨습니다.
그 사건 이후 그의 그림은 극적으로 발전했고, 대작이 쏟아져 나왔으며, 색채도 화려해졌습니다.
아마 그를 괴롭히던 엄한 아버지로부터의 해방 덕일 것입니다.
 
그러나 마음 안에서 아버지의 영향력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그 역시 아버지처럼 남을 비난하고 폭발적으로 화를 자주 냈기 때문에 대인관계가 아주 안 좋았다고 합니다.
 
보통은 미워하는 사람을 자신도 모르게 닮아간다고 하는데 귀를 자르던 날 밤에도 동거하던 고갱과 싸운 끝에 귀를 잘라 고갱의 단골 창녀에게 가져다주었습니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생겨난 분노와 죄책감, 자학성과 보복의 마음에 순종한 것뿐입니다.
 
고흐를 도와준 사람은 그와 네 살 터울인 남동생이 있었습니다.
그는 그림 매매업자였는데 고흐에게 생활비를 대주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동생마저 결혼해 아들을 낳게 되었고 사업도 잘 안 되어 수입도 시원치 않게 되자 형이 부담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가 귀를 자르고 자살한 이유는 친구와 동생에게까지 부담이 되어버려 누구도 그의 기를 살려줄 사람이 없어졌기 때문이 아닐까요? 
 
며칠 전에 소개해 드렸던 쓰레기로 가득 찬 이층집 가장은 아들에게 마치 내가 없으면 안 된다는 식으로
아들이 요구하는 것을 가져다 바쳤습니다.
아들이 자신에게 의존하게 한 것입니다.
이는 아들의 자존감을 끌어내리는 행동일 수밖에 없습니다.
아버지가 없으면 안 되는 존재가 되어버린 것입니다. 
 
빈센트 반 고흐는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부터 그림의 꽃을 피웠습니다.
아버지의 영향력이 그만큼 컸던 것입니다. 
 
자녀는 어쩌면 부모가 사라져주기를 바라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자신 혼자의 힘으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 싶은 지도 모를 일입니다.
부모의 존재 자체가 자녀의 기를 꺾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기를 세워줄 목자는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
고흐에게 고갱도 동생도 사라졌습니다.
누구도 자신의 기를 세워줄 사람이 없었습니다.
자신을 믿어줄 사람이 없었던 것입니다.
 
고흐는 850여 점 그림 가운데 단 1점밖에 팔지 못했습니다. 
자신의 기를 살려줄 만한 목자를 만나지 못한 고흐는 그렇게 생을 마감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들의 리더로서 어서빨리 자녀들에게 자신들이 없어도 충분히 잘 살아나갈 수 있다는 것을
믿게 해 주어야 합니다.
아니면 영원한 아이로 남을 수밖에 없습니다. 
 
부모로서 자신에게 의존하는 아이가 있다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기는 하지만 아이는 영원히 어른으로 성장할 수 없다는 것도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어떤 공동체를 만들 때도 그 공동체를 만든 사람은 예수님처럼 반드시 빠질 준비를 해야 합니다.
그 공동체를 만든 이가 빠졌을 때 더 잘 될 수 있는 공동체가 되어야지 그가 빠졌을 때 무너지는 공동체는
그 구성원을 위한 공동체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위한 공동체를 만들었음이 증명되는 것입니다. 
 
물론 그 구성원들도 평소에 기가 꺾여 있을 것이 틀림없습니다.
모든 게 잘 돌아가서 있으나 마나 한 존재가 되어야 하는 것이 기를 살리는 리더의 모습입니다. 
 
훌륭한 리더는 양들 안에서 기를 죽여 말을 하지 못하게 만드는 악령을 믿음으로 쫓아내어 자기의 말을 하게 만드는 목자입니다.
만약 양들이 해야 할 말을 목자에게 막 할 수 있다면 그 목자는 기를 살리는 목자입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