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2월 11일 _ 전삼용 요셉 신부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0-02-11 조회수 : 741

2월 11일 [연중 제5주간 화요일]
 
​인정받으려는 마음이 있다면 인정받지 못한다 
 
어느 대학에 시험은 많이 보았으나 성적을 매기지 않던 한 영어 교수님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 교수님은 첫 시험을 치룬 후에 학생들에게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여러분이 시험을 볼 때 저에게 좋은 성적을 기대하며 보지 마십시오.
시험은 제가 여러분에게 평가를 받는 시간입니다.
여러분 스스로 여러분의 실력에 점수를 매기십시오.”
그러고는 시험지를 각자에게 나누어주고 각자가 점수를 매겼습니다.
학생들은 그 시험지를 다시 회수할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교수님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 점수가 여러분이 저를 평가한 점수입니다.
다음번엔 저를 좀 더 잘 평가해 주시고 시험지는 여러분이 가져가시기 바랍니다.” 
 
어쩌면 시험은 좋은 점수를 받아 선생님께 인정받기 위함이 아니라 내가 선생님을 평가하고 내가 나를 평가하는 도구인 것입니다.  
 
선생님은 학생들의 시험성적으로 변하는 것이 아무 것도 없습니다.
반 아이들의 성적이 더 뛰어나다는 것은 그만큼 아이들이 선생님을 믿고 인정하고 사랑했다는 뜻이 되기도 합니다. 
 
율법을 지키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율법은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치르라고 주신 시험지입니다.  
 
그런데 하느님은 우리가 율법을 얼마나 잘 지키는지 관심이 없으실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율법을 잘 지킨다고 그분이 변하실 것은 아무 것도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 내가 율법을 잘 지키고 있다면 그것은 내가 주님을 더 믿고 감사하여 좋은 변화를 이끌어냈다는 증거가 됩니다.
따라서 율법을 얼마나 잘 지키고 못 지키는가는 내 스스로 하느님께 대한 사랑을 체크하는 도구이지 하느님이나 이웃에게 인정받으려는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오늘 복음에서 바리사이-율법학자들이 예수님께 꾸중을 듣습니다.
그 이유는 사람들의 관습법으로 하느님의 율법을 교묘하게 어기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부모를 공경하라는 율법이 있지만 그들은 부모에게 드릴 것이라도 하느님께 드리는 것이 더 잘하는 일이라고 말하며 행동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지금 당장 돈이 필요한 분은 하느님이 아니라 부모일 수 있습니다.
하느님은 부모를 봉양하지 않고 드리는 예물은 기쁘게 받으시지 않으십니다.
왜냐하면 부모는 세상에서 창조자 하느님의 창조사업에 참여한
작은 하느님들이시기 때문입니다.  
 
눈에 보이는 창조자를 공경하지 못하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느님을 공경한다고 말하기에
그것은 위선이 되는 것입니다. 
 
왜 바리사이-율법학자들이 하느님께 사랑받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을까요?
율법으로 자기가 자기 자신을 평가했어야 하는데 그것으로 하느님께 평가받으려 했고
이웃에게 평가받으려 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면 “하느님, 저 잘했죠? 이 정도면 인정받을만하죠?”라고 말하는 것이고, 이웃들에겐 “내가 너보다 하느님 마음에 더 드는 사람이야!”라고 말하는 것이 됩니다.  
 
풀어서 말하면 “하느님은 제가 이 점수를 받아야만 저를 인정해주시는 군요.” 라고 하느님을 판단하는 것이고, “하느님은 점수에 따라 우리를 차별하시는 분이야!”라고 말하는 것이 됩니다. 
 
이렇듯 자신이 하는 행위로 누군가에게 인정을 받으려하면 그 누군가가 그 평가로 자신을 인정해주는 인정 없는 사람으로 만들어버립니다.
이미 인정받으려고 하는 마음 안에 상대를 인정 없는 분으로 여긴다는 마음이 들어있습니다.
그래서 인정받으려면 결국 인정받지 못하게 됩니다.  
 
율법은 내가 나 자신을 판단하는 도구인데, 율법주의는 그것으로 내가 하느님과 이웃에게
평가받으려는 행위입니다. 
 
퇴계 선생은 젊은이들을 모아 가르치면서 열심히 공부하여 큰 그릇이 되라고 건물구조 자체를 공(工)자로 설계해서 지었습니다.
그리고 제자들을 가르치는 강의실 전관에 ‘박약제’란 현판을 걸어 두었습니다. 
 
‘박약제’란 말의 뜻은 ‘박’자는 박사할 때의 박(博)자이고 ‘약’자는 절약할 때의 약(約)자입니다.
학문은 넓히고 예절은 줄이라는 뜻입니다.  
 
이조 5백 년 동안 유교의 예절이 너무 번거로워 백성들의 삶을 위축시켰기에, 퇴계 선생은 지나친 예절의 폐해를 살피고 후학들에게 학문에 더 에너지를 쏟으라고 가르친 것입니다. 
 
이제 우리도 율법은 좀 줄이고 복음에 집중합시다.
행위로 인정받으려하지 말고 이미 인정받았다는 복음을 믿읍시다.
인정받았음을 믿을수록 스스로 메기는 율법점수는 저절로 더 높아질 것입니다.  
 
바오로 사도는 말합니다.
“사실 사람은 율법에 따른 행위와 상관없이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고 우리는 확신합니다.” (로마 3,28) 

(수원교구 전삼용 요셉 신부님)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