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12월 5일 _ 김건태 루카 신부

작성자 : 김건태 작성일 : 2024-12-05 조회수 : 149

반석 위에 집을 짓는 삶

 

오늘 우리는 마태오 복음저자가 그리스도인 생활 헌장으로 자리한 예수님의 고귀한 가르침들을 모아 놓은 산상설교라는 대단원의 결어 부분을 들었습니다. 마태오는 예수님의 가르침에 군중은 몹시 놀랐다하는 반응을 전합니다. 이어서 그분께서 자기들의 율법학자들과 달리 권위를 가지고 가르치셨기 때문이라고 부언합니다.

오늘 예수님께서는 반석 위에 집을 지으라고 가르치십니다: “나의 이 말을 듣고 실행하는 이는 모두 자기 집을 반석 위에 지은 슬기로운 사람과 같다.” 복음에서 우리는 들음과 실천에 옮김이라는 주제를 자주 접합니다. 들음, 곧 해야 할 일을 아는 것과, 그렇게 안 것을 실천에 옮기는 삶이 곧 바위 위에 집을 짓는 삶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해야 할 일을 분명하게 알지 못할 때, 우리는 자신감을 잃고 망설이거나 헤매는 삶, 보람과 거리가 먼 삶을 살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우리가 처해 있는 현실이 어떠하고, 살아가는 방법이 어떠하든, 어찌 보면 우리의 삶은 크고 작은 결심의 연속이었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입니다. 이 결심이 깊은 기도를 통해 찾아낸, 다시 말해서 주님의 뜻에 맞는 숙고의 결실이 아니라면, 결국 우리는 모래 위에 집을 짓는 사람과 다를 바가 없을 것입니다.

한편, 이 결심이 숙고의 결과라 하더라도, 결심한 바를 실천에 옮기지 못한다면, 이 또한 모래 위에서 만족하는 삶에 불과할 것입니다. 사실은 바로 여기에 우리 그리스도교인 실존의 가장 취약한 부분이 숨어 있습니다. 결심의 내용은 꽤 괜찮아 보이는데, 남들이 인정하고 성원하는 결심인데도, 더 나아가지 못하고 결심 그 자체로 머무는 삶을 말합니다.

물론, 때로는 결심했다고 해서 바로 실천에 옮겨서는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것이 아무리 좋은 결심이라도, 바오로 사도의 가르침대로, 믿음이 약한 사람들에게 악표양이 되는 것은 아닌지 꼭 따져 보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결심이라면 방법을 달리 하거나 포기하는 것, 그것이 바로 사랑의 또 다른 위대한 행위임을 사도의 가르침을 통해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신앙의 새로운 한 해를 열면서, 무엇보다 먼저 오시는 주님 맞이에 나서면서, 세우신 작은 결심들 하나씩 이루어나가시는 가운데 반석 위에 집을 짓는 삶을 채워나가시길 기도합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