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신도 희년을 맞이하여
+ 찬미 예수님,
교우 여러분, 그리고 수도자, 사제 여러분! 주님의 평화를 빕니다.
2018년은 한국 천주교회에 ‘평신도협의회’가 출범한 지 50년이 되는 해입니다. 이 뜻깊은 해를 맞이하여 ‘한국천주교평신도사도직단체협의회’는 ‘평신도 희년’ 선포를 주교회의에 요청하였고, 주교회의 2017년 추계 정기총회에서는 만장일치로 평신도 희년을 승인하였습니다.
한국 천주교회가 보편교회에 내어놓을 수 있는 가장 큰 자랑거리 중 하나가 자생(自生)한 교회라는 사실입니다. 한국 천주교회는 선교사들이 복음을 전하여 탄생한 교회가 아니라, 평신도 스스로 복음의 진리를 찾아 이룩한 교회라는 사실입니다. 박해 시절 사제가 없는 이 땅에 평신도들은 사제 영입 운동과 더불어 교회 활동을 주도하여 왔습니다. 성 정하상 바오로는 복자 윤유일 바오로, 복자 최인길 마티아, 복자 지황 사바와 더불어 북경을 왕래하면서 이 땅에 성직자들을 모셔오는 일과 교회를 세우는 일에 헌신하였습니다. 한편으로 교황청에 서신을 보내어 박해 상황을 전하며 선교사 파견을 호소하였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박해의 부당성을 호소하며 천주교의 진리를 설명하는 「상재상서」를 쓰기도 하였습니다. 복자 정약종 아우구스티노는 명도회 회장으로서 「주교요지」를 펴내며, 교우들의 교리교육과 선교에 헌신하였습니다. 우리는 조선 교회를 위하여 헌신한 성 황석두 루카, 복자 강완숙 골롬바, 하느님의 종 내포의 사도 이존창 루도비코 곤자가 등 많은 평신도들을 기억합니다.
1866년 한불조약으로 이 땅에 종교의 자유가 허락된 이후 평신도들은 레지오 마리애나 빈첸시오회, 꾸르실료, 연령회, 매괴회 등의 신심단체를 통하여 선교에 큰 공헌을 하였습니다. 사형수의 대부였던 판사 김홍섭 바오로, 교육으로 제주를 일으킨 교육자 최정숙 베아트리체, 국채 보상운동에 앞장섰던 회장 서상돈 아우구스티노, 정치활동 중에서도 신앙의 모범을 보여준 총리 장면 요한, 가난한 이들의 치료를 위해 평생을 바친 의사 선우경식 요셉 등 훌륭한 평신도들을 기억합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 한국 천주교회에서 평신도들의 역할과 중요성이 더욱 높이 인정되고 평가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교계제도 하에서 많은 교우들이 피동적이고 소극적인 자세로 신앙생활을 영위해 오고 있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평신도 교령」을 선포하며, 교회와 세상 안에서 수행하는 평신도의 사명과 역할을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평신도들은 그리스도의 사제직, 예언자직, 왕직에 효과적으로 참여하여 하느님 백성 전체의 사명에서 맡은 자기 역할을 교회와 세상 안에서 수행한다. …… 평신도들은 그리스도인 정신으로 불타올라 마치 누룩처럼 세상에서 사도직을 수행하도록 하느님께 부름 받았다”(2항).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평신도 그리스도인」에서 교황 바오로 6세의 「현대의 복음 선교」를 인용하며 다양한 분야와 범위 안에서 펼쳐질 평신도의 직무와 임무와 역할을 재차 강조하였습니다. “평신도들의 복음선교 활동의 무대는 바로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예술, 학술, 국제 활동, 대중매체 등 한마디로 광범위하고 복잡한 현실 세계가 되는 것입니다. 그 밖에 사랑, 자녀 가정교육, 직업훈련, 고뇌 등의 현실도 모두 복음 선교의 활동 범위가 될 것입니다”(23항). 교황청의 여러 부서가 공동으로 펴낸 ‘평신도의 사제 교역 협력 문제에 관한 훈령’에서는 사제들, 수도자들, 평신도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적극적인 협력의 새로운 방식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영세자들이 점차 줄어가고 있습니다. 교회에 관심이 줄어가고 있는 것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신자들의 미사 참여율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많은 냉담교우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한국 교회가 쇠퇴하는 유럽 교회를 그대로 뒤따라가고 있습니다. 은퇴하신 베네딕토 교황님께서는 이러한 교회의 현실을 크게 걱정하고 계십니다. 오늘날의 교회의 진정한 문제는 신자 수가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이 사라지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십니다(베네딕토 16세 교황의 「마지막 이야기」 참조). 위기는 기회라는 말이 있습니다. 한국 천주교회에 새로운 전환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평신도 희년’은 금년 평신도 주일인 2017년 11월 19일부터 2018년 11월 11일 평신도 주일까지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님께서는 평신도 희년 동안 전대사를 허락하셨습니다. 평신도 희년 동안 진심으로 죄를 뉘우치고 고해성사를 받고 영성체를 한 후, 향후 제시될 몇 가지 조건 가운데 하나를 채우면 누구나 전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조건에 관해서는 곧 교황청 내사원의 교령으로 공지될 것입니다.
‘평신도 희년’을 맞이하여 평신도들의 활발한 활동을 기대합니다. “사도직의 다양한 형태와 방법을 통하여 새로운 요구에 끊임없이 적응하는 평신도들은 주님의 협력자가 된다.”(평신도 교령 33항)는 공의회의 격려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하느님께서는 한 탈렌트를 받았든, 두 탈렌트, 혹은 다섯 탈렌트를 받았든 상관하지 않습니다. 주님께서는 말씀하십니다. “잘하였다. 착하고 성실한 종아! 네가 작은 일에 성실하였으니 이제 내가 너에게 많은 일을 맡기겠다. 와서 네 주인과 함께 기쁨을 나누어라”(마태 25,23).
아울러 사제와 수도자들의 협력을 부탁드립니다. 우리는 함께 교회를 위하여 일해야 합니다. 우리는 함께 하느님께 나아가야 합니다. 우리는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한 몸이기 때문입니다. “한 지체가 고통을 겪으면 모든 지체가 함께 고통을 겪습니다. 한 지체가 영광을 받으면 모든 지체가 함께 기뻐합니다.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몸이고 한 사람 한 사람이 그 지체입니다”(1코린 12, 26-27).
일상 안에서 하느님의 말씀을 따라 순종하시며, 이웃사랑과 기도로 신앙의 모범을 보여주신 은총의 성모 마리아의 도우심을 빕니다.
주님의 은총과 평화가 여러분 모두에게 함께 하시길 기도합니다.
2017년 연중 제32주일에
주교회의 평신도사도직위원회
위원장 조규만 주교
|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