핼러윈, 가톨릭에서 연유한 축제
[앵커] 10월 31일, 오늘은 미국의 대표적인 축제인 핼러윈 데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유령이나 괴물 분장을 하고 축제를 즐기는 사람이 많은데요.
핼러윈 데이가 가톨릭교회에서 연유된 날이라는 것, 알고 계신가요?
이학주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거리에는 괴물과 마녀 복장을 한 사람들이 활보하고, 유령 모양의 호박이 밝게 빛납니다.
특유의 으스스한 소품과 조명, 분위기로 인기를 끌고 있는 핼러윈 데이.
그런데 핼러윈은 가톨릭교회에서 유래된 축제입니다.
<박종인 신부/ 예수회, 「교회상식 속풀이」 저자>
“핼러윈이라는 말 자체는 고대 영어, 혹은 켈트 말에서 나왔다고 저도 알고 있는데. Hallow는 성인들을 의미해요, 세인트(Saint). 그 다음에 ween은, 뒤에 een으로 끝나는 ween은 ‘이브닝’. 그러니까 어떤 축제의 전날, 전야제죠. 전야제를 의미해서 핼러윈은 11월 1일 즉 모든 성인들의 대축일 전에 있는 전야제라고 해서 핼러윈이라고 하는 축제가 나왔고….”
11월 1일 ‘모든 성인 대축일’은 하늘에 있는 모든 성인, 특히 교회력에 축일이 지정되지 않은 성인들을 기리는 축일입니다.
이튿날인 2일은 연옥에 있는 모든 영혼들을 위해 기도하는 ‘위령의 날’입니다.
결국 핼러윈부터 위령의 날까지 사흘 연속으로 특별한 날인 셈입니다.
핼러윈에 으스스한 복장을 하는 건 고대 유럽 켈트족 문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아일랜드의 먼 조상인 켈트족은 10월 31일은 ‘여름의 끝’이자 한 해의 마지막 날로 여겼습니다.
그래서 추수에 감사하고 풍요로운 새해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사윈(Samhain) 축제를 열었는데, 이날 죽은 자의 영혼과 악령들이 자신들을 찾아온다고 믿었습니다.
켈트족은 해를 입지 않기 위해 귀신으로 분장하고, 영혼들을 달래려고 음식을 나눴습니다.
이것이 바로 지금 우리가 즐기고 있는 핼러윈 축제의 원형입니다.
<박종인 신부 / 예수회, 「교회상식 속풀이」 저자>
“가톨릭 문화와는 이제 엄밀히 따지면 그 옛날 고대 켈트 문화 내에 있었던 그 추수절이에요. 그 추수 축제를 가톨릭 문화가 이렇게 환치, 대치해서 들어갔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그 날은 원래 추수를 기념하는 날이었는데. 우리나라 같으면 한가위겠죠. 한가위를 기념했던 축제였는데 그거를 이제 가톨릭 문화가 들어감으로써 모든 성인들의 대축일에 있는 전야제로서 아마 발전시킨 것으로 알고 있는데….”
12월 25일 ‘주님성탄대축일’도 보편 교회 안에 다른 문화가 포용된 모습을 띄고 있습니다.
이날은 원래 로마인들이 섬기던 ‘무적의 태양신 탄생 축일’이었는데, 그리스도교화 되면서 예수님이 탄생하신 날로 대체됐습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도 이런 역사적 사실을 뒷받침하는 조항이 있습니다.
바로 1202항 중 “교회는 모든 문화들의 풍요로운 다양성을 정화하여 단일성 안에 수용할 수 있다”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핼러윈은 본래 의미를 잃어버린 채 상업적으로 변질됐습니다.
박종인 신부는 신자들이 핼러윈 데이에 ‘모든 성인 대축일’ 전야제의 의미를 되새기고 위령성월의 의미도 묵상해볼 것을 조언했습니다.
<박종인 신부 / 예수회, 「교회상식 속풀이」 저자>
“우리가 지금 즐기고 있잖아요. 이 즐기는 시간을 통해서 죽음이 멀리 있지 않음도 함께 기억했으면 좋겠고. 이 죽음이 모든 것의 끝이 아니라는 것도 알아들으셔야 돼요. 왜냐하면 성인들이 우리보다 먼저 하느님의 곁에 가서 기뻐하고 있다는 걸 이 축제들이 알려주고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cpbc 이학주입니다.
*출처: cpbc News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