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심판을 하지 못하게 만드는 이유는 이 걱정 때문
우린 흔히 사람들의 평가에 자주 휘둘리고 감정의 변화를 일으키곤 합니다.
물론 그 사람들의 평가가 다 옳지는 않다는 것을 압니다.
그렇더라도 모든 사람이 나를 잘 평가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습니다.
사실 이 때문에 휘둘리다가 망하는 예가 한둘이 아닙니다.
작가 니콜라이 고골의 대표작은 「외투」입니다. 소설은 페테르부르크에서 하급 관리로 일하는
아까끼 아까끼예비치 바시마치킨의 일상으로부터 시작합니다.
서기관으로서 문서를 정서(正書)하는 일을 맡은 그는 다른 사람들의 무시와 비웃음에도 자기 직분에 매우 충실한 사람입니다.
자신의 업무에 대한 만족감은 물론 애정도 있어서
별다른 취미 생활도 갖지 않은 채로 일에만 몰두하고 있습니다.
그런 그에게 한 가지 문제가 생기는데, 그것은 이 혹독한 러시아의 추위를 막아줄 새 외투가
필요해진 것입니다.
무수히 고쳐 입었던 낡은 외투가 더 이상 수선 불가하다는 재봉사 페트로비치의 말에 따라 그는 큰마음을 먹고 새 외투를 마련하기 위해 절약을 시작합니다.
밥을 굶고, 집에 불을 끄고, 움직임을 최소화해 옷과 신발을 아껴가며 그는 드디어 재봉사의
손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외투를 건네받습니다.
그 황홀한 순간과 기쁨은 그의 동료들에게도 전해져, 이들은 아카키를 파티로 초대합니다.
하지만 파티가 끝난 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그는 강도를 만나 외투를 빼앗기는 충격적인 일을
겪게 됩니다.
외투를 되찾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던 그는 한 고위층 인사에게 자신을 도와달라고 부탁했다가 엄청난 핀잔과 멸시를 겪게 되고, 그 결과로 끝내 세상을 떠나고 맙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아카키의 모습을 한 유령이 나타나 사람들의 외투를 빼앗아 가기 시작하고,
그를 핍박했던 고위층 인사가 자신의 외투를 던지고 혼비백산 달아나면서 소설은 결말에
다다릅니다.
계급적 관료 세계에서 늘 말단에 머물러야 했던 아카키 아카키예비치가 유령의 모습으로 “살아 있는 사람으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어마어마한 주먹”을 내미는 마지막 장면은 유쾌한 전복이 누구의 평가도 받을 필요가 없는 존재가 되었을 때만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사람은 왜 사람들의 시선에 휘둘릴까요? 결국 타인의 판단이 자기 ‘생존’에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생존의 문제가 해결된다면 타인의 시선에 휘둘릴 필요가 없습니다.
소설 ‘외투’는 주인공의 자유는 죽어서야 비로소 얻어집니다.
죽으면 생존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타인의 평가에 휘둘리지 않습니다.
예수님은 어떻게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실 수 있으셨을까요? 당신 생존을 책임져 줄 아버지께
좋은 평가를 받으시기 때문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내 아버지께서 여태 일하고 계시니 나도 일하는 것이다.”
예수님은 사람을 옳게 평가하실 수 있는 분은 아버지 한 분뿐이라는 것이고 당신이 아버지와
대등한 분이시기 때문에 당신의 판단 또한 올바를 수 있다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나는 아무것도 스스로 할 수 없다. 나는 듣는 대로 심판할 따름이다.
그래서 내 심판은 올바르다.
내가 내 뜻이 아니라 나를 보내신 분의 뜻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바라고 있다면 그 사람은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없습니다.
그러한 판단에 항상 자기 이익을 위한 의도가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올바른 판단을 할 줄 아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판단에서도 자유로운데, 오직 자기 생존의 문제에 대해 더는 걱정하지 않게 해 줄 누군가에게 좋게 평가받는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에디슨이 7살이 되던 어느 날, 학교에서 돌아온 그가 어머니에게 조심스럽게 편지 한 장을
건넸습니다.
교사로부터 받은 것이었습니다.
그가 읽어달라고 부탁하자, 어머니 낸시는 조용히 편지를 펼쳐 읽기 시작했습니다.
“당신의 아들은 천재입니다.
이 학교는 그의 교육을 감당할 수 없습니다.
더 좋은 교육을 받게 하십시오.”
에디슨은 감격했습니다.
어머니는 눈시울이 붉어진 채로 미소 지으며 말했습니다.
“그러니, 엄마가 너를 직접 가르칠 거란다.
너는 특별하니까.”
그날 이후 낸시는 직접 아들을 가르치기 시작했고, 에디슨은 어머니의 사랑과 신뢰 속에서
마음껏 실험하고 탐구하며 자랐습니다.
그는 후에 이렇게 회상했습니다.
“나는 어머니가 나를 믿어주었기 때문에 위대한 사람이 될 수 있었다.
어머니가 나를 만들어 주었다.
내가 가진 모든 것은 어머니 덕분이다.”
수십 년 후, 어른이 된 에디슨은 어머니의 유품을 정리하다가 우연히 그 오래된 편지를 다시 발견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 편지에는 이렇게 쓰여 있었습니다.
“당신의 아들은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습니다.
이 학교에서는 더 이상 교육시킬 수 없습니다.”
에디슨은 그 편지를 들고 조용히 눈물을 흘렸다고 합니다. 그날 어머니는 학교의 평가를 지워버리고, 자신의 아들을 정의하는 새로운 문장을 써준 것이었습니다.
“너는 천재야.”
그 한마디는 세상의 모든 평가를 무너뜨리고, 에디슨을 자유롭게 했습니다.
그리고 그 자유는 세계를 바꾸는 수많은 발명을 가능케 했습니다.
우리는 누군가에게는 평가받아야 합니다.
나의 생존을 위해 의지해야 할 대상이 꼭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자기 자신이 자기 죽음을 해결할 수 있는 존재는 없습니다. 오직 창조자뿐입니다.
생존의 문제에 자유로울 수 있는 존재가 되어야만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내가 죄를 지으면서 어떻게 하느님께 좋게 평가받는다고 느낄 수 있겠습니까?
그러니 자녀로서 예수님처럼 이렇게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내 말을 듣고 나를 보내신 분을 믿는 이는 영생을 얻고 심판을 받지 않는다.
그는 이미 죽음에서 생명으로 건너갔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