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주보

수원주보

Home

게시판 > 보기

오늘의 묵상

2월 19일 _ 양승국 스테파노 신부

작성자 : 홍보국 작성일 : 2025-02-19 조회수 : 137

[연중 제6주간 수요일] 
 
복음: 마르 8,22-26 
 
하느님은 우리를 구조해주시는 분이 아니라 구원해주시는 분입니다! 
 
 
다가오는 사순시기, 예수님께서 몸소 겪으셨던 수난과 십자가 죽음의 신비에 대한 깊이 있는 묵상으로 우리를 안내할 따끈따끈한 영적 독서책이 막 도착했습니다.
제목이 특별합니다.
‘나를 구하시지 않는 하느님’(로널드 롤 하이저 著, 생활성서)입니다. 
 
로널드 롤 하이저 신부님은 오블라티 선교 수도회 소속이시며 헨리 나우웬 신부님 이후 대표적인 가톨릭 영성 작가로 손꼽히고 있는 영성가이십니다. 
 
고통과 십자가에 대한 저자의 성숙하고도 친절한 안내가 돋보입니다.
하느님께서 예수님의 고통을 면제하시지 않은 것처럼, 예수님도 우리의 고통을 면제해주시지 않는답니다.
너무나 신박한 표현들 앞에 개인적으로 깜짝 놀랐습니다. 
 
“하느님은 우리를 구조해주시는 하느님이 아니라 우리를 구원해 주시는 하느님이십니다.
하느님은 우리를 굴욕과 고통, 죽음에서 우리를 구해 주시려 개입하시지 않습니다.
하느님은 일이 벌어진 후에 굴욕, 고통, 죽음에서 우리를 구원해 주십니다.” 
 
“예수님은 병에 대한 면역을 만들어 주시고 죽음을 피하게 해주신다고 약속하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구원하시고 의롭게 하시며 고통을 감내할 힘과 영원한 생명을 주시겠다고 약속하셨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일은 우리 삶의 마지막에 일어날 일들입니다. 
 
우리는 삶의 여정에서 다른 모든 이가 겪는 굴욕과 고통, 그리고 죽음을 똑같이 겪을 것입니다.
십자가와 예수님의 부활은 구조하시는 하느님 아니라 구원하시는 하느님을 보여줍니다.” 
 
부끄럽게도 우리 한국 교회 안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예수님 인류 구원 사업의 정점인 골고타 언덕으로 올라가는 고통스런 여정은 생략하고 싶습니다.
그저 현세의 지속적인 축복과 끝도 없는 치유, 나와 내 가족만의 안녕만을 갈구하는 미성숙한 신앙이 판을 치고 있습니다. 
 
가슴 아픈 사회 현실은 외면한 채 고상함과 경건함, 신비함과 달콤함만을 추구하는 ‘값싼 신앙’의 천박한 그림자가 남아 있습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고통과 십자가는 외면하고, 승승장구와 만수무강만 추구하는 싸구려 신앙을
거부해야겠습니다.
고통과 십자가 없는 구원은 기대조차 하지 말아야겠습니다. 
 
우리 가톨릭 교회의 분위기나 가르침은 조금 밋밋해보입니다.
가톨릭 교리는 지극히 상식적이고 통상적이어서 그렇습니다.
이성적이고 평범한 것이어서 그렇습니다.
그런데 사실 보편적이고 인간적인 것이 얼마나 좋은 것인지 모릅니다. 
 
우리 가톨릭교회에서는 고통스럽고 부당한 현실, 단박에 뒤집힐 것이라고 외치지 않습니다.
우리 눈앞에 신천지가 나타날 것이라고 사기 치지 않습니다.
지금 겪고 있는 이 끔찍한 병고 즉시 치유시켜 주겠노라고 과장하지 않습니다.
목돈을 갖고 오라고 협박하지 않습니다. 
 
대신 우리 가톨릭교회는 고통스럽고 부당한 현실 앞에서도 너그러운 마음을 지니자고 초대합니다.
기도 속에 주님의 뜻을 찾아보자고 안내합니다.
호의적이지 않은 이 현실, 넓은 마음으로 받아들이자고 가르칩니다.
천천히 가자고, 인간의 때가 아니라 하느님의 때를 기다리자고 권고합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 눈먼 이를 치유하십니다.
그 과정이 참으로 놀랍습니다.
그를 군중 사이에서 따로 불러내십니다.
세상 다정하게 그의 손을 잡고 마을 밖으로 데리고 나가십니다.
그리고 이런저런 접촉과 함께 그의 장애를 풀어주십니다.
그의 두 눈에 침을 바르시고, 손을 얹으십니다.
그의 머리 위에 손을 펼쳐 안수를 해주십니다.
“무엇이 보이느냐?” 등 자상하게 이것저것 물어봐 주십니다. 
 
치유받은 사람입장에서 묵상해보니 얼마나 은혜롭고 축복된 순간이었는지.
놀랍게도 주님께서 나를 선택하셨습니다.
굳이 그렇게 하지 않으셔도 될 일인데, 그분께서 내 손을 잡고, 마을 밖으로 데리고 가십니다.
가는 길에 이것 저것 물어봐 주십니다.
이름이 뭐냐? 어디 사는가? 언제부터 이렇게 되었는지? 그간 살아오느라 얼마나 힘들었는지? 
 
예수님의 따뜻함과 자상함에 그의 눈에서는 쉼 없이 눈물이 흘러내렸습니다.
예수님과 손을 잡고 마을 밖으로 걸어가는 그 짧은 순간, 이미 그는 모든 것을 다 얻었습니다.
깨달았고, 치유 받았습니다. 구원받았고 영원한 생명을 얻었습니다.
육체의 치유는 사실 덤이었습니다.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