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희생과 자기 포기, 인내와 사랑을 요구하는 좁은 문!
참으로 특별한 이력을 지닌 우리 시대 탁월한 신학자가 있습니다.
미국의 저명한 작가이자 가톨릭 신학자인
스콧 한(Scott Hahn)입니다.
그는 원래 미국 장로교 목사로 활동했었습니다.
그런 스콧 한이 1986년 예수 부활 대축일에 가톨릭 신자로 회심했습니다.
그의 개종은 수많은 개신교 목사들과 성경 학자들의 개종으로 이어져 한동안 큰 이슈가 되었습니다.
그는 한때 세상의 재미에 푹 빠져 정신없이 살아왔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사건을 계기로 그는 스스로 자신의 지난날들을 정리합니다.
그리고는 완전히 하느님께로 돌아섰습니다. 이렇게 갑자기 변한 사람을 보고 주변 사람들 가만있지 못합니다.
다들 한 소리씩 합니다.
“사람이 갑자기 변하면 죽는다던데...” “저 양반 갑자기 왜 저러지? 뭘 잘못 먹었나?”
그는 당시의 고충을 이렇게 적고 있습니다. 예수님께 헌신하기로 다짐한 지 약 한 달이 지나자 나는 친구 하나 없는 외톨이가 되었다. 나는 배신감을 느꼈다.
나는 하느님께 대들었다.
“주님, 저는 제 삶을 당신께 바쳤습니다.
그런데 당신은 친구들을 모두 빼앗아 갔습니다.
무슨 처사가 이렇습니까?”
친구들은 갑자기 변한 저를 도무지 이해하거나 용납할 수 없었습니다.
그들은 제게 이런 말을 남기고 다들 떠나갔습니다.
“너는 변했어. 우리는 더 이상 너하고 어울리고 싶지 않아. 잘 먹고 잘 살아라!”
(스콧 한, ‘영원토록 당신 사랑 노래하리라’, 바오로 딸 참조)
좁은 문, 생명의 문으로 들어가기 위해 첫발을 내딛는 사람들이 처음 직면하는 어려움일 수 있습니다.
좁은 문을 선택한다는 것, 그리로 들어가려고 노력한다는 것, 사실 말이 쉽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넓은 문 쪽에 즐비하게 늘어서 있는 세상의 것들은 그 빛깔이 얼마나 고운지 모릅니다.
얼마나 우리들의 시선을 끄는지 모릅니다.
‘좁은 문’, 참으로 큰 희생을 요구하는 문입니다. 큰 인내를 요구하는 문입니다.
큰 포기를 요구하는 문입니다.
큰 사랑을 요구하는 문입니다.
큰 대가를 요구하는 문입니다.
그러나 그 ‘좁은 문’으로 들어가는 사람들에게 주어질 하느님의 상급은 우리의 상상을 훨씬 초월할 것입니다.
오늘 비록 우리가 아직 어려서, 아직 젊어서, 아직 마음의 준비가 안 되서, 좁은 문으로 들어가는 데 번번이 실패하곤 하지만, 기를 쓰고 노력하고 또 노력하던 어느 날, 하느님의 은총에 힘입어 우리 모두 가뿐히 좁은 문을 통과하리라 믿습니다.
오늘 제게 있어 ‘좁은 문’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한참을 묵상해봤습니다.
저희 같은 수도자들에게 ‘좁은 문’은 다름 아닌 공동체 생활이었습니다.
끝까지 공동체를 떠나지 말고 공동체의 성실한 일원으로 남는 것이 좁은 문으로 들어가도록 힘쓰는 일이었습니다.
나의 성장은 반드시 형제의 성장과 동시에 이루어지며, 내가 변해야 형제가 변하기에,
어떻게 해서든 내가 머무르는 이 공동체에서 뼈를 묻을 각오를 하고 살아가는 것, 그것이야말로 ‘좁은 문’으로 들어가려고 힘쓰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양승국 스테파노 신부님)
신고사유를 간단히 작성해 주세요.